▣ 경칩 : 겨울잠 자던 개구리가 나오고,
초목의 싹이 돋아나는 때
▣ 춘분 : 태양은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,
지구상에서는 밤낮의 길이가 거의
같아지는 때
○ 전정 전 꽃눈 수와 발육상태 점검하여
주당 적정 꽃눈 수를 남김
▹ 꽃눈이 적거나 충실하지 않으면
전정 최소화
▹ 꽃눈 지나치게 많으면 과감한 전정
○ 동해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
▹ 1월 중순 이후 온난과 혹한의 반복
▹ 습해 또는 과건 과원, 두더지 많은 과원
▹ 시비과다(유기물 포함), 생육후기 강우
▹ 과다 결실 과원, 조기낙엽 과원
○ 동해확인시 조치
▹ 나무좀 트랩 설치와 철저한 방제
▹ 가지를 과감하게 줄여 엽면적 축소
▹ 꽃눈 또는 꽃봉오리 제거로 무결실 유도
○ 해동이 되면서 한번은 충분하게 관수
▹ 날씨에 따라 필요하면 5~7일 간격으로
추가 관수
○ 퇴비(유기물)만 시용하는 경우 4~5월에
질소 부족우려
▹ 3월 말에 요소 2~3kg/10a 시비 후 관수
○ 수분수 배치상황을 점검하여 부족하면
추가 재식
▹ 주 품종과 개화기가 같거나 다소 빠른
수분수 선택
○ 고밀식 사과원 관리 및 병해충
방제교육 참석
▹ 2018년 병해충 방제력 숙지
▹ 전년도 병해충 발생과 피해원인 분석
및 대책 마련
○ 해당 해충 : 복숭아순나방,
복숭아순나방붙이,사과굴나방
○ 설치시기 : 3월 하순 ~ 4월 상순
○ 응애 등 월동병해충 밀도 조사,
결과에 따라 필요하면 약제살포
▹ 지난해 응애 피해를 입은 경우 월동
밀도가 높을 수 있음
▹ 발아직전(3월 하순) 기계유유제
60~70배액 살포
- 월동알이 없거나 아주 적으면 생략 가능
○ 부란병 발생이 많은 과원
▹ 기계유유제에 베푸란 혼용 또는 단용 살포
▹ 병든 부위에 접촉된 톱, 가위 등은
즉시 소독
▹ 이병주는 표시하여 지속적으로
사후 점검하면서 조치계속
○ 화상병
▹ 화상병 발생 과원은 동제화합물로 방제,
기계유유제 지양
○ 지난 해 병 발생이 심했던 과원
▹ 예방적으로 석회유황합제 살포
▹ 기계유유제 사용 후 20일 이내에
살포하면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
둘 중 한가지만 선택해서 살포할 것
▹ 수세가 약한 나무가 취약하므로
수세유지에 유의
▹ 심하게 피해 입은 나무는 제거하여 4월
이전에 소각
▹ 3월 하순경 나무좀 유인트랩 설치
- 트랩당 20~30마리 유인될 경우 수세
약한 나무를 중심으로 피해 여부 중점
확인
- 발아기 전후(4월 초)부터
오후 2~3시경 기온이 20°C 이상일
경우 나무좀 비산이 활발함
▹ 성충 비산기에 유기인계(스미치온,
메프치온 등) 100배 내외로 일주일
간격으로 4회 주간부 살포
- 피해나무 치료: 유기인계 100배 내외+
테부코나졸 (실바코, 호리쿠어 등)
1,000배액 혼용하여 주사기로 피해구멍에
약액 주입
▹ M.9와 M.26은 감수성, MM, 106은 저항성
▹ 4월경에 흡지를 철저히 제거하여 소각
▹ 발생초기 플로니카미드 등 진딧물약이나
유기인제 살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