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소서 : 장마전선이 오래 자리잡아 습도가
높은 장마철을 이루는 시기
▣ 대서 : 겨울인 대한으로부터 꼭 6개월이
되는 날로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
○ 일소
▹ 고온기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충분하게
관수하고 조중생종은 과격하고 과다한
하계전정 지양
▹ 장마직후 탄산칼슘(크레프논, 칼카본)
40~50배액 또는 카올린(써라운드)
33~66배액 수관 상부 중심으로 3~4 회
살포
○ 후기낙과
▹ 조생종 수확 예정 4주 전에 AVG(리테인)
2,000배액 살포
▹ 안티폴(2.4.5-DP)은 조기 분질화를
유발하므로 주의
○ 엽, 토양 시료 채취
▹잎은 7월상순에 눈높이에서 햇빛을 잘 받는
과실이 달리지 않은 신초 중간부위의
건전한 잎을 주당 5~10 매, 총 50~100매
정도를 채취
▹ 토양은 7월 하순~8월 상순 수관 1m
이내에서 지표의 검불을 제거하고 0
~20cm, 20~40cm로 구분하여 채취
○ 성목에서 2차생장율 20% 이상은 문제가
있으므로 원인을 찾아 개선
○ 2차생장의 원인
▹ 지나친 질소 및 유기질비료 시용
▹ 강전정
- 착과량 부족, 우박피해, 지나친 적과로
결실량 감소
▹ 5~6월 가뭄 등 수분이 부족했거나
7~8월 고온에 의한 조기 생장정지 후
보상생장
○ 주기적으로 관수하되 2차 생장하지 않도록
토양수분을 다소 낮게 유지
○ 장마나 집중호우를 대비하여 배수로 정비
○ 수관하부를 제초(예초) 하여 습하지
않도록 관리
○ 땅이 젖은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농기계를
투입하여 토양이 다져지지 않도록 유의
○ 두더지 퇴치를 위한 조치 수행
○ 도장지 발생이 많은 경우 고두병 위험이
있으므로 염화칼슘 0.3% 과면살포
○병 방제
▹ 상·중순
- 장마기는 고온다습하여 갈색무늬병,
탄저병, 겹무늬썩음병균의 증식 속도가
빨라 감염위험 급증
- 후지는 갈색무늬병과
탄저병은 트리플록시스트로빈 (프린트,
에이플), 중생종 혼식 과원은 피라클로
스트로빈(카브리오에이) 살포
- 수시로 관찰하여 탄저병 병반이 보이는
과실은 즉시 제거
▹ 하순경
- 겹무늬썩음병 치료와 갈색무늬병 방제를
위해 아로빈 살포
▹ 탄저병, 겹무늬썩음병 이병과는 조기에
제거
▹ 갈색무늬병 발생초기이면 아로빈 살포를
앞당기거나 특별살포
▹ 날개무늬병(문우병) 발생관찰
○ 해충 방제
▹ 상·중순 : 응애류는 엽당 평균밀도가 3마리
정도일 때 방제
▹ 하순경
-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 (유충의
과실 가해 방지) 및 애모무늬 잎말이나방,
노린재류, 나방류 발생량에 따라 테부페노
자이드(미믹, 한터)와 메톡시페노자이드
(팔콘런너) 살포
- 노린재류는피레스로이드계통(캡처,
타스타) 약제로 방제
▹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트랩은 사과원에서
2m이상 거리를 두고 30~50m 간격으로
설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