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대설 : 중국 화북지방의 기상을 기준으로
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유래
▣ 동지 : 대설과 소설 사이에 오는
24절기의 하나,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
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
○ 우량묘목을 심어야 하는 이유
▹ 수관의 조기 완성 → 조기결실
▹ 재식 다음해에 주당 5kg 이상 수확
가능, 개원비 조기 회수 가능
▹ 조기결실을 통해 수세의 조기안정화
▹ 과다한 영양생장 없이 3-4년차에
성과기 접근
○ 우량묘목의 기준
▹ 뿌리발달 양호, 대목길이 적어도
40cm 이상
▹ 접목높이 20cm, 줄기직경 13mm 이상
▹ 지면 60-70cm높이에서
길이 30-60cm의 곁가지가 10개 이상
▹ 하단부터 분지각도가 넓고 강하지 않은
가지가 골고루 배치
▹ 고밀식재배는우량측지묘목에서 출발
○ 농기계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
▹ 야간, 경사지, 미끄러운 바닥 등에서
SS기, 트랙터 전복 주의
○ 동해가 발생한 과원의 특징
▹ 과다결실로 수세가 약해진 과원
(특히 유목기)
▹ 퇴비 및 질소과다로 늦가을까지 생장이
계속된 과원
▹ 수관하부 잡초 방치 등으로 수세가
약해진 과원
▹ 배수가 불량하거나 가뭄을 많이 탄 과원
▹ 냉기류가 정체되어 늦서리 피해가
빈번히 나타나는 과원
▹ 급하게 개원하여 토양이 안정되지 않은
사과원 등
○ 피해 증상
▹ 심한 나무는 발아와 새잎 전개가
건전한 나무에 비해 늦음
▹ 초기 정상적으로 발아되다가 개화기
무렵에 꽃잎의 끝이 위조 되면서 고사함
▹ 수세가 약하여 줄기마름병, 부란병,
역병에 쉽게 감염됨
▹ 나무좀 피해를 받아 고사하는 등
2차적인 피해가 있음
○ 예방 대책
▹ 토양 배수 개선 및 수관 하부 제초
▹ 수세유지: 적정 착과·시비, 과습·건 방지,
조기낙엽 예방
▹ 땅 얼기전 충분한 관수, 겨울철 가뭄 시
휴면기 관수실시
▹ 12월 중에 주간부 흰색 수성페인트
칠하기 및 볏짚·신문지·단열재 등으로
감싸기
▹ 나무의 세력을 잘 판단하여 시비량을 결정
○ 질소시비를 줄여야 하는 경우
▹ 신초 생장이 왕성할 때 (평균 30cm 이상)
▹ 가을단풍이 들지 않고 늦게까지 녹색유지
▹ 기대보다 수확량이 적은 경우
▹ 관비를 하는 경우 과실이 착색이
나쁘거나 탁하게 날 때
▹ 고두병 발생이 많은 경우
○ 질소시비를 늘려야 하는 경우
▹ 신초생장이 약할 때 (평균 15cm 이하)
▹ 분화된 꽃눈이 많을 경우 수세에 비해
과다결실된 경우
▹ 단과지 품종인 경우
▹ 토심이 얕고 자갈이 많은 토양인
경우(분시)
▹ 사과원 토양의 부식함량이 낮을 때
○ 수세가 강해진 요인
▹ 결실부족
▹ 우박피해로 과실을 모두 제거
▹ 과다시비, 강전정
○ 수세를 잡기 위한 단계별 대책
▹ 생육단계에 맞게 필요한 작업 실시
▹ 전정 최소화, 시비량 절감, 충실한
꽃눈확보
▹ 대목노출, 환상박피, 절피, 비비폴 살포,
아상, 유인, 적심 등 고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