왜화 재배는 수고가 낮아 작업이 쉽고 광 이용효율도 높아서 조기결실이 가능하므로
①생력(省力 : 기계화 등으로 일손을 덞)
②조기수확 (早期多 :조기에 다량수확)
③고품질생산
④자본 회수기간 단축 등
본격적인 보급은 1973년부터 농림수산성이 실시한「사과왜화모델 원
예설치사업」에 의해서 시작되었다.
왜성대목은 외국에서 도입된 왜성대목의 특성조사나 재배법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일본의 재배환경에 적합한 왜성대목이 선택되어져 왔다.
그 결과, 비교적 토양적응성이 넓고, 조기결실성이면서 생산력이 높은 M26(M16 M9)은 East Malling 시험장에서 육성되어진 M계의 대목으로 실생대목의 약 40%~50%정도의 왜화도를 띈다.
M26대목을 이용하면 토양조건이나 품종에 의해서도 다르지만 수고(樹高)가 약3~4m 정도가 되며, 결실부위는 2.5~3.5m 전후의 높이로 구성할 수 있다.
또 뿌리의 길이는 지하40cm 이내로 거의 뿌리군이 분포하고 수평방향에는 잔뿌
리(가는 뿌리)가 넓게 분포하지만 뿌리의 안정성은 작고, 지주를 필요로 한다.
M9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왜성대목이지만 일본에서는 왜화재배 면적전체의 28.6%를 차지하는데 그쳤다.
M9은 East malling시험장에서 선발된 M계의 대목이고 M26보다 작고 왜화도는 실생대목의 30%~40%정도이다.
조기 결과성과 수량성이 높지만 천근성이므로 지주가 필요하다.
잠재적으로 많은 virus에 혼합 감염되어 있어서 각 나라에서 Virus-free화사업을수행, 많은 계통을 만듦에 따라 종래의 M9와 왜화도, 생장력, 번식력 등이 다른 계통이 발견되고 있는데 영국의 M9A, M9 EMLA, 프랑스의 Pajam1(Lancep), Pajam2(Cepialand), 네델란드에서 선발된 M9 NAKB T337 등이 있다.
자료출처 :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
내 modoo! 홈페이지,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?
네이버 검색창에 "문경 우진농원@"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.
"홈페이지명"에 "@"을 붙여 검색하면
네이버 검색에서 modoo!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기호 @은 영어 "at(~에)"를 뜻하며, 홈페이지 주소 modoo.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.
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.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,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! https://www.modoo.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. ⓒ NAVER Corp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