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청명: 화창해지는 시기로 논농사의
준비작업인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.
▣ 곡우 :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
윤택해지는 때로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.
○ 수정용 방화곤충 방사
▹ 머리뿔가위벌은 개화 예정 7~10일 전,
호박벌은 20~30% 개화 시,
꿀벌은 10% 개화 시 방사
▹ 벌통은 남향 또는 동향,
지상 50cm 위에 둘 것
▹ 방사 1주 전부터 방사기간 내 살충제
살포 금지
▹ 방사직전 과원 내 민들레 등 밀원 예초
○ 필요하면 인공수분 실시
▹ 수분수가 부족하거나 개화시기가
주 품종과 다른 경우
▹ 화기에 저온피해가 우려되는 경우
정화의 중심화 개화 후 3일 이내,
▹ 오후보다 오전에 인공수분
▹ 개화 20~30%정도 진행됐을 때
인공수분효율이 높음
○ 적뢰(꽃봉오리 따기)와 적화(꽃 따기)
▹ 대과 생산비율이 높아짐
▹ 동해 입은 나무 또는 수세가 약한 나무
우선
▹ 홍로 등 단과지 품종, 꽃눈 많은
품종에 우선
▹ 개화가 빠를 경우 서리피해 가능성
감안하여 조절할 것
○ 유목의 원줄기 상단 나지 부분 아상 넣기
▹ 눈 위 0.5~1cm 위치에 2m 폭,
1~1.5cm길이
▹ 재식당년인 경우 4월보다는
5월이 더 효과적
○ 원줄기 상단부의 불필요한 측지 찢기
○ 날씨에 따라 3~5일 간격으로 점적관수
○ 개화직전 요소 엽면살포
(0.3%, 1.5kg/500리터)
▹ 갈색무늬병, 생리장해 등으로 지난해
낙엽이 심했던 과원
▹ 지나치게 결실량이 많았던 과원
▹ 동해, 두더지나 나무좀 피해를 입어
수세가 약해진 과원
○ 개화량이 충분한 경우 약제적화
▹ 석회유황합제 : 정화가 80% 개화한 시기부터 100배액을 2일 간격으로 2~3회 처리(고농도 연속살포, 분지과원은 동독발생 가능성 높음)
▹ ATS(암모늄티오설페이트) : 측화 만개기에 홍로 1.0%(ai | 75%), 후지 0.5~1.0%액을 1회 처리, 중복 또는 고농도 (1.5%이상) 살포 시 약해 발생 가능
○ Pro-Ca(비비풀) 살포
▹ 꽃눈이 적고 수세가 강해질 조짐이 있는 나무에서 정단 새순이 3~5cm 일 때(낙화기 무렵)
▹ 전년도 우박피해로 수세가 강해진 나무
▹ 검증되지 않은 생장억제제 사용은 자제
▹ 봄비가 잦으면 개화직전 갈색무늬병과
부란병 감염 위험이 높음
▹ 약액이 골고루 분사되는지 노즐 등
방제기 사전점검
▹ 잎이 작고 열매가 없더라도 충분한
약량으로 꼼꼼하게 약제살포
○ 갈색무늬병
▹ 주로 6월 중하순경 감염되기 시작하나
최근 5월 중하순으로 당겨지는 추세
▹ 전년도 발생이 심하거나 상습발생
과원은 초기 방제가 중요
▹ 개화전 예방 위주의 방제로 비산
포자에 의한 감염 최소화
○ 겹무늬썩음병
▹ 9월 중순 이후 피해가 나타나나
일소피해 시 7월 하순경에도 발생
▹ 5월~8월 하순경은 잠복 감염, 과실 당도
10.5Brix 정도인 성숙기에 병징이 나타남
○탄저병
▹ 대체로 8월~10월에 많이 발생, 전년도
홍로에서 피해가 많았음
▹ 환경이 맞으면 6월 유과기 때도 발병,
6월 상순부터 예방적 조치 필요
▹ 사과원 주변의 아카시아, 호두나무는 제거
○ 점무늬낙엽병
▹ 6월 중하순경에 많이 발생,
갈색무늬병과 동시 방제
○ 붉은별무늬병(적성병)
▹ 과원 주변 향나무(중간기주식물) 제거,
필요시 갈색무늬병과 동시 방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