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망종: 벼,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
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
적당한 시기
▣ 하지 : 낮이 가장 길며, 정오의 태양
높이도 가장 높아지는 때
○ 5~6월(50~60%), 9~10월(20~30%) 다 발생
○ 기온 5~25 °C인 날 12~15시 사이에
우박 많이내림
○ 피해가 심한 과실은 솎아내고 살균제
살포 • 향후 수세를 고려하여 일정한
수의 과실은 남김
○ 피해 극심과원(30%이상 낙엽)
▹ 적정 착과량의 50% 이하로 착량 재조절
▹ 잎이 찢어지고 상처가 많은 가지는 제거
○ 대만 수출용 사과는 상순까지 봉지
씌우기 마무리
○ 추가 적과 계속 : 액화 & 측화 결실과 제거
○ 주기적 관수
▹ 엽면적이 확보되어 기온 상승과 함께
수분요구량 증가
▹ 기상과 토양에 따라 1~3일 주기로
점적관수
▹ 새순이 먹도록 중순부터는 관수량을
다소 줄임
○ 잡초발생이 많아지므로 제초에 중점
▹ 열간은 초장 20-30cm 내외시 깎음
▹ 밀식 사과원은(특히 유목원) 수관하부를
철저히 제초
(예초 시 10cm 이상 자라지 않도록)
○ 머리뿔가위벌 방사대롱 수거, 서늘한
창고에 보관하되 개미 등의 피해가
없도록 조치
○ 새순의 자람에 따라 적심이나 유인,
분지각 넓히기
○ 도장지라도 자르지 말고 유인하거나
찢어야 반발생장이 억제됨
○ 감홍 등 고두가 심한 품종이나
대과품종은 칼슘 엽면살포
▹ 과실표피에 칼슘이 직접 묻도록 살포
○ 영양제 살포는 순이 먹지 않고 계속
자라게 하므로 꼭 필요치 않으면 하지
않도록
○ 병 방제
▹ 상·중순
- 탄저병과 겹무늬썩음병 감염 증가,
갈색무늬병 1차 감염시기
- 퀴논계(델란) 살균제 살포
▹ 하순경
- 디니트로아니린계(후론사이드)
살균제를 살포
- 퀴논계 약제와 살포 회차 순서가
바꾸지 않도록 주의
- 후론사이드는 갈색무늬병 방제가가
낮아 보완하기 위해 석르도액
살포(연속강우시 약해 발생)
▹ 역병 주의 (병균이 물을 따라
이동하므로 과습하지 않도록)
▹ 그을음(점무늬)병
- 비가 많은 조건하에서 6~7월 일조시간
부족시 발생
- 봄과 가을에 발생, 유기유황계
농약으로 꼼꼼히 방제
○ 해충 방제
▹ 상·중순 - 응애류 :정기적 예찰로 엽당
평균밀도 1~2마리 이상 시
방제 -꽃사과 열매는 조기에 제거로
노린재류 유입 방지
▹ 하순경
- 복숭아순나방 2세대, 복숭아심식나방
제1세대로 중점 방제 대상
- 나방류 해충의 밀도가 높은 경우
곤충탈피저해제 (라이몬, 디밀린,
노몰트, 파밤탄 등) 등으로 방제
- 사과굴나방, 심식나방류 및
잎말이나방류는 동시방제
▹ 응애류 방제가 필요한 경우
- 아세퀴노실(가네마이트), 비페나제이트
(아크라마이트),사이플루메토펜(파워샷,
응원) 등 살포
▹ 갈색여치 방제시
페니트로티온(메프치온 스미치온),
다이아지논에토펜프록스(심),
클로르피리포스 아파사이퍼메트린
(강타자, 진굴탄), 펜토에이트(경농파프,
엘산아리파프, 충자비) 등 살포
▹ 노린재류
- 노린재 다발생 과원은 트랩 설치
- 약제 방제 시 이동성이 강한 낮
시간보다 활동이 떨어지는 이른 아침
또는 늦은 오후에 유기인계 (그로프,
더스반 등) 약제 살포
○ 혼합살충제 사용에 주의
▹ 동일계통 약제의 반복사용 시 내성이
생기므로 방제 전 반드시 계통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