▣ 입하 : 여름으로 접어든다는 뜻,
입하 이후 입추 전까지를 여름이라 함
▣ 소만 : 본격적으로 여름에 접어드는 때
○ 약제적과 •지는 중심과 과경 10mm,
쓰가루는 13mm일 때
▹ 카바릴(세빈) 800배액을 전착제
가용하여 살포
▹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므로 반드시
꽃이 완전히 진 후 사용
▹ 주변에 양봉농 있으면 사용자제
○ 손적과 : 최대한 일찍 시작해서 5월
이내에 마쳐야 과실비대 및 꽃눈분화에 유리
○ 봉지 씌우기
• 동독 발생 품종(감홍, 양광 등) :
최종 적과 후, 5월 이내
○ 염지와 적심 : 도장성 새순이
약 15~20cm정도 자랐을 때
비틀거나(염지), 순지르기(적심)
○ 겨울전정에서 빠뜨린 불필요한
1년생 가지 찢기
○ 중·상단부 새순의 분지각 넓히기
○ 잎이 작고 엽색이 옅어 수세가 약하다고
판단되는 경우
▹ 요소 0.3%(1.5kg/500리터)을
1~2회 엽면살포
○ 발아 및 엽전개가 늦은 경우 동해나
부란병 의심
○ 감홍의 경우 고두병 예방을 위해 봉지씌우기 전 염화칼슘 0.3~0.5% 살포
○ 엽면적이 증가하므로 날씨에 따라
점적의 경우 2~3일 간격, 미세살수의
경우 4-6일 간격으로 관수
○ 수관하부 풀은 자주 깎아줄 것
○ 흡지 제거
○ 황화낙엽
▹ 5월 중순~6월 중순경 새순 아래쪽 작은
잎부터 낙엽
▹ 갈색무늬병으로 오인하여 불필요하게
약제 살포하지 말 것
▹ 토양이 과습 또는 과건하지 않도록
수분관리
○ 병 방제
▹ 낙화직후
- 갈색무늬병(매우 중요), 점무늬낙엽병,
과심곰팡이병, 화부병 감염위험 높음
- 만개후 5일 후부터 살균제 살포
- 후지 단일품종 또는 후지 혼식 사과원 :
플룩사피로사드(카디스) 등으로
방제하되 저항성 문제로 이 시기 외는
사용하지 말 것
- 홍로, 홍옥, 시나노스위트 등의 중생종
사과원 : 안트라콜 등으로 방제
▹ 하순경
- 크레속심메틸(해비치, 스트로비 등)
살포, 갈색무늬병, 탄저병, 그을음병,
겹무늬썩음병 등 대부분 사과병에 효과
- 탄저병 감염시작, 정지형 병반으로
포자가 지속적으로 생산, 분산되어
2차 전염원이 됨
- 겹무늬썩음병 상습 발생과원은 약제가
줄기와 가지 부위까지 충분히 묻도록 살포
▹ 품종 또는 혼식정도에 따라 살포
살균제가 다르므로 주의
○ 해충 방제
▹ 상·중순
- 복숭아순나방, 잎말이나방류, 응애류
예찰에 중점
- 나방류는 클로란트리프롤(알타코아)
등으로 방제
- 응애류 발생초기는 스피로디클로펜
(시나위), 스피로메시펜(지존, 배가존)
등으로 방제
- 노린재 트립 설치와 수시 확인
- 특히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피해 확인
▹ 하순경
- 진딧물류, 사과면충, 은무늬굴나방
예찰에 중점
- 플로니카미드(세티스),
스피로테트라멘(모벤토) 등으로 방제
- 사과면충이 심한 나무는 별도로
주간부 줄기에 보완 살포